카테고리 없음

서버 설치 및 기본 설정

BIBOT 2022. 6. 11. 14:29

서버 환경 : CentOS 7.X(64bit)

접속 프로그램 : MobaXterm

 

 

초기 설정

sudo passwd root

명령어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해줌.

 

sudo yum update

명령어로 한 번 업데이트 해준다. 

중간에 is this ok 라 물어봄. "y" 키를 눌러줘야 다음 단계로 진행됨. 

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 15분 정도가 소요된다. 

 

 

 

 

centos7 에는 기본적으로 파이썬 2.7 이 설치되어있다. 

python -V

를 입력하면 확인 할 수 있음. 

 

파이썬3 설치

yum install python3

마찬가지로 중간에 is this ok 라 물어봄. "y" 키를 눌러줘야 다음 단계로 진행됨. 

 

 

 

 


가상메모리 설정 (2Gb)

가상메모리 설정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램이 복잡해질 수록 killed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설정해주는 것이 좋다. 

만약 내가 하고 싶은 알고리즘이 그닥 복잡하지 않다면 해당 설정은 건너뛰어도 된다. 

free -m
swapon -s

dd if=/dev/zero of=/swapfile count=2048 bs=1M

chmod 600 /swapfile
mkswap /swapfile
swapon /swapfile

 

vi /etc/fstab 을 입력하면

아래 내용이 나오는데, 키보드 i를 누른 후 맨 아래줄로 가서 

/swapfile swap swap defaults 0 0

를 입력해준 후 

:wq

를 쳐서 저쟁하면 된다. 

vi /etc/fstab




#
# /etc/fstab
# Created by anaconda on Mon Sep  5 11:52:12 2016
#
# Accessible filesystems, by reference, are maintained under '/dev/disk'
# See man pages fstab(5), findfs(8), mount(8) and/or blkid(8) for more info
#
UUID=f13d84b4-c756-4d89-9d5e-6b534397aa14 /                       xfs     defaults        0 0


/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

다시 free -m을 눌러주면 Swap 의 용량이 생긴걸 확인 할 수 있다.

 


SFTP 접속 허용 

MobaXterm에서 좀 더 편하게 프로그램을 편집할 수 있도록 SFTP를 혀용해준다. 

vi /etc/ssh/sshd_config

해당 파일을 열어서 

Subsystem sftp /usr/lib/openssh/sftp-server

라는 부분을 찾아 아래 내용으로 바꿔준다. 

Subsystem sftp internal-sftp

 

그리고 파일의 맨 끝으로 이동해 아래 내용을 추가해준다. 

Match User root
    ChrootDirectory /home/
    ForceCommand internal-sftp
    X11Forwarding no
    AllowTCPForwarding no

위의 내용은 root 사용자에게만 SFTP를 허용해주는 것이다.

 

:wq로 저장한 후, 

service sshd restart

로 마무리한다. 

이렇게 하면 MobaXterm 좌측에 보이는 디렉토리에 파일을 드레그해서 넣을 수 있다. 

 

 

 

 

스케줄 설정

스케줄이란 특정 시간에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. 

ex) 10분에 한 번씩 실행, 매일 1시마다 실행 등

 

vi /etc/crontab

i를 누른 후, 맨 아래에 내가 원하는 스케줄을 추가하면 된다. 

crontab 시간 설정하는 방법 : 

https://www.google.com/search?q=crontab+%EC%8B%9C%EA%B0%84&sourceid=chrome&ie=UTF-8 

 

나는 매일 10분에 한 번씩 /home 에 있는 test.sh 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예정이므로 아래와 같이 입력해 주었다. 

*/10  *  *  *  * root  /home/test.sh

 

반응형